22. 여러 경락의 인경약

1. 인경약은 다음과 같다. 수태양경은 강활이고, 족태양경은 황백이다. 2. 수태음경은 길경이고, 족태음경은 백작약이다. 3. 수양명경은 백지ㆍ승마이고, 족양명경은 석고이다. 4. 수소음경은 독활이고, 족소음경은 지모이다. 5. 수소양경은 시호이고, 족소양경은 청피이다. 6. 수궐음경은 시호이고, 족궐음경은 청피이다.『동원』 7. 노래에, “소장ㆍ방광은 태양이니 고본ㆍ강활의 고향이다. 삼초ㆍ담ㆍ간ㆍ포락은 소양ㆍ궐음이니 시호가 강력하다. 수양명인 대장과 족양명인 위(胃)는 갈근ㆍ백지ㆍ승마가 제격이다. 수태음인 폐맥은 중초에서 일어나니 백지ㆍ승마ㆍ총백의 고향이다. 비경은 폐경과 약간 다르니, 승마와 백지의 약효가 세밀하다. 수소음 심경은 독활이 주인이고, 신경은 독활에 육계를 가하는 것이 좋다. 경락을 소통할 때 이것들을 사약(使藥)으로 쓰면 어느 병인들 치료하지 못하겠는가!”라고 하였다.『동원』 8. 간의 인경약은 시호ㆍ천궁[상행]ㆍ청피[하행]이다. 9. 담의 인경약은 시호ㆍ천궁[상행]ㆍ청피[하행]이다. 10. 심의 인경약은 독활ㆍ세신이다. 11. 소장의 인경약은 고본ㆍ강활[상행]ㆍ황백[하행]이다. 12. 비의 인경약은 승마ㆍ백작약(술로 법제한 것)이다. 13. 위(胃)의 인경약은 갈근ㆍ승마ㆍ백지[상행]ㆍ석고[하행]이다. 14. 폐의 인경약은 백지ㆍ승마ㆍ총백이다. 15. 대장의 인경약은 갈근ㆍ승마[상행]ㆍ백지ㆍ석고[하행]이다. 16. 신(腎)의 인경약은 독활ㆍ육계ㆍ소금ㆍ술이다. 17. 방광의 인경약은 고본ㆍ강활[상행]ㆍ황백[하행]이다. 18. 심포의 인경약은 시호[상행]ㆍ천궁ㆍ청피[하행]이다. 19. 삼초의 인경약은 시호ㆍ천궁[상행]ㆍ청피[하행]이다.『회춘』 20. 부자는 모든 약의 으뜸으로 모든 경맥을 통하게 한다.『입문』 21. 머리가 아픈 데는 반드시 천궁을 쓴다. 22. 정수리가 아픈 데는 고본을 쓴다. 23. 사지의 관절이 아픈 데는 강활을 쓴다. 24. 배가 아플 때는 작약을 쓰되, 오한이 있으면 육계를 더하고, 열을 싫어하면 황백을 더한다. 25. 물을 지나치게 마시는 데는 백출ㆍ복령ㆍ저령을 쓴다. 26. 놀라고 정신이 없는 데는 복신을 쓴다. 27. 명치가 막힌 데는 지실ㆍ황련을 쓴다. 28. 살에서 열이 나는 데는 황금을 쓴다. 29. 배가 불러 오른 데는 후박을 쓴다. 30. 옆구리 아래가 아프고 오한발열이 있는 데는 시호를 쓴다. 31. 비위에 습담이 있어 나른해지는 데는 백출을 쓴다. 32. 체기(滯氣)를 뚫는 데는 지각을 쓴다. 33. 어혈을 깨뜨리는 데는 도인ㆍ소목을 쓴다. 34. 혈이 부족한 데는 감초를 쓴다. 35. 담을 삭이는 데는 반하를 쓰되, 열이 있으면 황금을 더하고 풍이 있으면 남성을 더한다. 36. 한담으로 명치가 막혀 답답한 데는 진피ㆍ백출을 쓴다. 37. 뱃속이 쪼여드는 데에는 창출을 쓴다. 38. 기를 고르게 하는 데는 목향을 쓴다. 39. 기를 보하는 데는 인삼을 쓴다. 40. 혈을 조화롭게 하는 데는 당귀를 쓴다. 41. 하초에 습열이 있는 데다 방광에 화사(火邪)가 있을 때는 방기(술로 씻은 것)ㆍ초룡담ㆍ황백ㆍ지모를 쓴다. 42. 내상으로 허한(虛汗)이 나는 데는 황기를 쓴다. 43. 상초의 열에는 황금(굵고 속이 부서지는 것)을 쓴다. 44. 중초의 습열에는 황련을 쓴다. 45. 체기(滯氣)를 없애는 데는 청피를 쓴다. 46. 갈증에는 갈근ㆍ복령을 쓴다. 47. 기침에는 오미자를 쓴다. 48. 숨 차는 데는 아교를 쓴다. 49. 숙식(宿食)이 소화되지 않는 데는 황련ㆍ지실을 쓴다. 50. 가슴속에 번열이 있는 데는 치자를 쓴다. 51. 물설사를 하는 데는 백출ㆍ복령ㆍ작약을 쓴다. 52. 기가 맺혀 쑤시듯이 아픈 데는 지각을 쓴다. 53. 어혈로 쑤시듯이 아픈 데는 당귀를 쓴다. 54. 헐어서 아픈 데는 황련ㆍ황금ㆍ황백을 쓴다. 55. 눈이 아픈 데는 황련ㆍ당귀를 모두 술로 법제해서 쓴다. 56. 소변이 누런 데는 황백을 쓴다. 57. 소변이 잦으면서 시원하게 나오지 않는 데는 택사를 쓴다. 58. 뱃속에 대변이 차서 아픈 데는 대황ㆍ망초를 쓴다. 59. 아랫배가 아픈 데는 청피를 쓴다. 60. 음경 속이 아픈 데는 감초(잔뿌리)를 쓴다. 61. 위완통에는 초두구를 쓴다. 62. 차가운 약만 쓰거나 뜨거운 약만을 쓸 때에는 반드시 감초로 그 약 기운을 완화시켜야 한다. 차가운 약과 뜨거운 약이 뒤섞인 데에도 감초로 조화시켜야 한다.『동원』


이전 | 탕액서례 목록 | 다음

스마트워치용 웹사이트 개발을 위한 테스트 페이지입니다.

자료 출처 | 한의학고전DB [homepage on the Internet]. 한국한의학연구원; 2015 [cited 21 Nov 2017]. Available from: https://mediclassics.kr/books/8/volume/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