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사전

황금(黃芩)

[본초] 꿀풀과(脣形科, Labiat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속썩은풀(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의 뿌리(根). 가을에 채취하여 수근(鬚根)과 주피를 제거하고 쇄건(曬乾)하여 사용한다. 눈근(嫩根)으로 내외가 모두 실(實)하며 황색(黃色)으로 미록(微綠)을 띤 것을 자금(子芩) 또는 조금(條芩)이라 하고, 노근(老根)으로 중심이 비어 있고 겉면은 황색이고 내부는 흑색을 띤 것을 고금(枯芩), 숙금(宿芩) 또는 편금(片芩)이라 한다. =부장(腐腸).

  • Ref. 대한한의학회 표준한의학용어집 2.1 (2021)


황금(黃芩)

기원 꿀풀과의 다년생 초본식물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의 뿌리
이명 부장(腐腸), 내허(內虛), 공장(空腸), 편금(片芩)
분포 우리나라 각지의 밭에서 재배하고 있으며, 특히 경북의 안동, 봉화가 유명한 산지이다. 중국에서는 하북, 내몽고, 산서, 산동, 섬서 등지가 주산지이다.
성상 뿌리는 원추형으로 길이는 7~12cm, 지름은 1~2cm이다. 표면은 짙은 황색 또는 황갈색을 띠며, 상부는 껍질이 비교적 거칠고 세로로 구부러지고 쭈그러진 주름이 있으며, 하부는 껍질이 얇다. 군데군데 수근의 자국 및 갈색의 거친 껍질 파편이 남아 있다. 질은 단단하면서도 취약하여 끊기가 쉽다. 단면은 짙은 황색이며 가운데에는 홍갈색의 원심이 있다. 신구(新舊)에 따라 조금(條芩)과 고금(枯芩)으로 나누는데, 조금은 자금(子芩)이라고도 하며, 어린 근으로 밖과 속이 모두 충실하며, 황색에 약간의 녹색을 띠고 있다. 노근(老根)은 고황금(枯黃芩) 혹은 고금(枯芩)이라고 하며, 단면의 가운데가 암갈색 혹은 흑갈색의 후편상(朽片狀)이며 간혹 속이 비어 있다.
채취가공 채집은 가을에 채취하여 수근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 잡질을 제거하고 윤투(潤透)시킨 다음 조각으로 잘라서 말려 사용한다.
약성 쓰고 차다. 실화(實火)를 내리고 습열(濕熱)을 제거하며, 지혈, 안태(安胎)시키는 작용이 있는데, 특히 폐경(肺經)의 열을 치는 데 우수하다. 고금은 가벼워 위로 오르는 성질이 좋아 폐경의 화열(火熱)을 내리는데 좋으며, 조금은 대장(大腸)의 열을 치는 데 좋다.
적응증 장열(壯熱)로 인한 번갈(煩渴), 습열(濕熱)로 인한 사리, 황달, 열림(熱淋), 토뉵(吐衄), 붕루(崩漏), 목적종통(目赤腫痛), 태동불안(胎動不安), 옹종(癰腫)
포제 생용(生用)하면 청열사화(淸熱瀉火)하는 작용이 강하고, 볶아 쓰면 찬 성질이 누그러져 안태(安胎)에 좋다. 술로 볶으면 위로 오르는 성질이 강해져 상초(上焦)의 열을 식히고, 시커멓게 태우면 지혈에 특히 좋다.
주의 비(脾)와 폐에 허열(虛熱)이 있는 자는 쓸 수 없다.
  • Ref. 경희대학교, 동양의학대사전 (1999) 중 일부 발췌함.


황금(黃芩)

(1)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20~60cm이며, 잎은 마주나고 피침 모양이다. 7~8월에 자줏빛 꽃이 줄기 끝에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뿌리는 약용하며, 산지(山地)에서 자라는데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2) (1)의 뿌리. 성질이 찬 약으로 허파의 열로 인한 해수(咳嗽), 황달, 하혈, 태동불안 따위에 쓴다. =부장(腐腸), 속서근풀, 속썩은풀, 숙금(宿芩), 편금(片芩), 황금초(黃芩草)

  • Ref.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