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사전

강역하기(降逆下氣); 강기(降氣); 하기(下氣); 강역(降逆)

direct qi downward

a therapeutic method of treating upward counterflow of qi in the lung and stomach manifested as cough, asthma, hiccupping or vomiting

  • code 4.2.176
  • Ref. WHO international standard terminologies on traditional medicine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2007)


하기(下氣)

[치법] 치료 원칙 중 이기법(理氣法)의 하나. 기가 상역하는 것을 끌어내리는 방법을 이른다. → 강기(降氣). =강기법(降氣法).

  • Ref. 대한한의학회 표준한의학용어집 2.1 (2021)


강기(降氣)

direct qi downward

[치법] 치료 원칙 중 이기법(理氣法)의 하나. 기가 상역하는 것을 끌어내리는 방법을 이른다. =강기법(降氣法), 하기(下氣).

  • Ref. 대한한의학회 표준한의학용어집 2.1 (2021)


강기(降氣)

치료 원칙. 이기법(理氣法)의 하나로서 기(氣)의 상역(上逆)을 치료하는 방법. 하기(下氣)라고도 함. 천해(喘咳), 애역(呃逆) 등의 증상에 활용하며 일반적으로 소자(蘇子)·선복화(旋覆花)·반하(半夏)·정향(丁香)·대자석(代赭石) 등의 약물을 사용한다. 강역하기(降逆下氣)도 이 치료법의 범위에 속한다.

  • Ref. 경희대학교, 동양의학대사전 (1999) 중 일부 발췌함.


강역(降逆)

치료원칙. 거스르는 기운을 내려 주는 것. =강기(降氣)

  • Ref. 경희대학교, 동양의학대사전 (1999) 중 일부 발췌함.


강역하기(降逆下氣)

치료 원칙. 이기법(理氣法)의 하나로서 폐위(肺胃)의 기가 위로 거슬러 오르는 것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순기(順氣)와 같은 뜻이다. 예를 들어 폐기(肺氣)가 거슬러 올라 기침을 하고 목이 그르렁대며 가래가 많고 숨이 급한 증세는 정천탕(定喘湯)을 사용하며, 위가 허한(虛寒)하며 기(氣)가 위로 거슬러 올라 멈추지 않으며 가슴에 기가 뭉쳐 펴지지 않고 맥이 느리게 뛰는 경우에는 정향시체탕(丁香柿蔕湯)을 사용한다.

  • Ref. 경희대학교, 동양의학대사전 (1999) 중 일부 발췌함.


하기(下氣)

(1) 인체 하부의 기(氣).
(2) 장위(腸胃)가 울결되어 방귀가 나오는 병증.
(3) 운기(運氣) 학술 용어. 육기(六氣) 중에서 정해진 기의 아래에 위치하는 기(氣).
(4) 평강기역(平降氣逆)하는 치료법. 강기(降氣) 또는 진잠(鎭潛)시키는 작용을 말한다. 참고: 기병(氣病), 기하(氣下)

  • Ref. 경희대학교, 동양의학대사전 (1999) 중 일부 발췌함.


하기(下氣)

=강기(降氣).

  • Ref.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20)


하기(下氣)

(1) 위로 치밀어 오르는 기운을 가라앉히는 일.
(2) 하초(下焦)의 기운. =강기(降氣). 참고: 상기(上氣), 중기(中氣)

  • Ref.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20)


강기(降氣)

위로 치밀어 오르는 기운을 가라앉히는 일. =하기(下氣)

  • Ref.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20)


강역하기(降逆下氣); 강기(降氣); 하기(下氣); 강역(降逆)

위로 치밀어 오르는 기운을 가라앉히는 일.

  • Ref.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20)


강기(降氣)

치료 원칙 중 이기법(理氣法)의 하나로서 기(氣)상역(上逆)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하기(下氣)라고도 한다. 천해(喘咳), 애역(噯逆) 등의 증상에 활용하며 강역하기(降逆下氣)도 이 치료법의 범위에 속한다.

  • Ref. 한의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