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사전 목록
322건
ID 표제어 (영) 의미 출전
28120 오경(五經) (1) 오장(五臟)의 경맥(經脈). / (2) 추나(推拿)에 사용하는 혈자리. =비경(脾經), 간경(肝經), 심경(心經), 폐경(肺經), 신경(腎經) 5개. 엄지에서 새끼손가락까지 순서대로 손가락 끝의 복면(腹面)에 자리한다. 동양의학.
47870 건개(乾疥) scabies [병증] 개창(疥瘡)의 하나. 폐경(肺經)의 조열(燥熱)로 인하여 피부가 건조하고 가려우며 백색의 인설(鱗屑)이 떨어지는 병증이다. 대한한의학회 표준한의학용어집 2.1 (2021)
56128 혈감(血疳) [병증] 과도한 음주나 비위(脾胃)에 습열(濕熱)이 있을 때 풍사(風邪)가 피부에 침범하여 폐경(肺經)에 응결되어 생기는 창증(瘡症). 속립상(粟粒狀)과 같고 가려움이 극심하며, 긁으면 삼출물이 흐르고, 피부가 궤란(潰爛)되고 기육이 부식(腐蝕)된다. → 혈풍창(血風瘡). 대한한의학회 표준한의학용어집 2.1 (2021)
56202 혈풍창(血風瘡) [병증] 과도한 음주나 비위(脾胃)에 습열(濕熱)이 있을 때 풍사(風邪)가 피부에 침범하여 폐경(肺經)에 응결되어 생기는 창증(瘡症). 속립상(粟粒狀)과 같고 가려움이 극심하며, 긁으면 삼출물이 흐르고, 피부가 궤란(潰爛)되고 기육이 부식(腐蝕)된다. =혈감(血疳). 대한한의학회 표준한의학용어집 2.1 (2021)
55609 폐실병증(肺實病證) lung excess disease(syndrome) [병증] 폐경(肺經)에 사기(邪氣)가 실(實)한 증상. 풍한(風寒) 담열(痰熱) 담습(痰濕) 담화(痰火) 등 각종 병인(病因)에 의해 발생한다. 임상표현은 병인(病因)에 따라서 다르다. 천해(喘咳)하고 호흡이 거칠며, 흉만창통(胸滿脹痛), 담연옹성(痰涎壅盛), 객담(喀痰)이 조황(稠黃)하거나 혹은 피가 섞이고, 갑자기 실음(失音)하는 등이 폐실(肺實)에 속하는 증상이다. → 폐실증(肺實證). =폐실(肺實). 대한한의학회 표준한의학용어집 2.1 (2021)
55608 폐실(肺實) [병증] 폐경(肺經)에 사기(邪氣)가 실(實)한 증상. 풍한(風寒) 담열(痰熱) 담습(痰濕) 담화(痰火) 등 각종 병인(病因)에 의해 발생한다. 임상표현은 병인(病因)에 따라서 다르다. 천해(喘咳)하고 호흡이 거칠며, 흉만창통(胸滿脹痛), 담연옹성(痰涎壅盛), 객담(喀痰)이 조황(稠黃)하거나 혹은 피가 섞이고, 갑자기 실음(失音)하는 등이 폐실(肺實)에 속하는 증상이다. → 폐실증(肺實證). =폐실병증(肺實病證). 대한한의학회 표준한의학용어집 2.1 (2021)
55610 폐실증(肺實證) lung excess syndrome [병증] 폐경(肺經)에 사기(邪氣)가 실(實)한 증상. 풍한(風寒) 담열(痰熱) 담습(痰濕) 담화(痰火) 등 각종 병인(病因)에 의해 발생한다. 임상표현은 병인(病因)에 따라서 다르다. 천해(喘咳)하고 호흡이 거칠며, 흉만창통(胸滿脹痛), 담연옹성(痰涎壅盛), 객담(喀痰)이 조황(稠黃)하거나 혹은 피가 섞이고, 갑자기 실음(失音)하는 등이 폐실(肺實)에 속하는 증상이다. =폐실(肺實), 폐실병증(肺實病證) 대한한의학회 표준한의학용어집 2.1 (2021)
55639 폐한증(肺寒證) [병증] 폐경(肺經)에 한사(寒邪)가 있는 것을 이르는 말. 양허증(陽虛證)에 속한다. 증상은 폐위(肺痿)와 유사하며, 입안에서 진액이 저절로 생겨나며 설태(舌苔)가 백활(白滑)하다. → 폐한(肺寒). 대한한의학회 표준한의학용어집 2.1 (2021)
55638 폐한(肺寒) [병증] 폐경(肺經)에 한사(寒邪)가 있는 것을 이르는 말. 양허증(陽虛證)에 속한다. 증상은 폐위(肺痿)와 유사하며, 입안에서 진액이 저절로 생겨나며 설태(舌苔)가 백활(白滑)하다. =폐한증(肺寒證). 대한한의학회 표준한의학용어집 2.1 (2021)
33984 조기상폐(燥氣傷肺) 가을철에 건조한 사기(邪氣)가 폐경(肺經)을 손상하는 병변. 조기(燥氣)는 진액(津液)을 쉽게 모상(耗傷)시키는데 입과 코를 통하여 조사(燥邪)가 폐로 침입하여 폐의 진액을 모상시키면 마른 기침이 나며, 가래를 뱉을 때 몹시 힘들어한다. 또한 가래를 뱉기 어렵다. 또는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며, 목구멍이 아프고, 가슴과 옆구리에 통증이 오는 등의 증후가 발생한다. 이는 온조(溫燥)와 양조(涼燥)의 구분이 있으니 대부분 상호흡도감염(上呼吸道感染)인 기관지염, 백후(白喉), 급성인후염 등의 질환에서 발생된다. 치료법은 윤조(潤燥), 청폐(淸肺), 양음(養陰) 등이 있다. 동양의학.
13766 노근(蘆根) 기원| 갈대(Phragmites communis Trin.)의 땅속줄기 이명|위근(葦根), 노시근(蘆柴根), 노통(蘆通), 노아근(蘆芽根), 첨경자(甛梗子) 분포| 우리나라 각지의 습지 또는 냇가에서 자라며, 중국 각지에 분포한다. 성상| 선노근(鮮蘆根)과 건노근(乾蘆根) 2가지가 있다. / 선노근은 활수노근(活水蘆根)이라고도 불리며, 긴 원주형 또는 편평한 원주형을 보이며, 길이는 가지런하지 않다. 직경은 약 1.5cm이고, 표면은 황백색으로 광택이 있으며, 선단은 뾰족하고 죽순과 같으며, 녹색이나 황록색이다. 전체에 마디가 있는데, 마디 사이의 길이는 10~17cm이며, 마디 위에는 수염뿌리나 싹의 흔적이 남아 있다. 질은 가볍고 인성(靭性)이 있어 꺾기 어렵다. 가로로 자른 면은 황백색으로 비어 있으며, 사방 벽의 두께는 약 1.5mm이고, 고리 모양으로 가지런하고 가느다란 구멍이 보이며, 외피는 부드럽게 벗겨진다. / 건노근은 납작하고 긴 원기둥 모양이고 표면은 광택이 있으며 황백색을 띤다. 마디는 비교적 딱딱하고 선명한 홍황색(紅黃色)이며, 마디 사이에는 세로로 물결무늬[波紋]가 있다. 질은 가벼우며, 부드럽고 질겨서 꺾기 어렵다. 향기는 없다. 크고 황백색을 띠며, 광택이 있고, 수염뿌리가 없고 부드러운 것이 좋은 것이다. 채취가공|채집은 봄, 가을, 겨울에 캐서 흙을 깨끗이 씻어내고 잔뿌리, 싹, 마디 위의 수염뿌리를 제거한 다음, 막 모양의 잎을 벗겨내어 햇볕에 말린다. 또는 축축한 모래에 파묻었다가 날로 쓴다. 약성|달고 차다. 폐경(肺經), 위경(胃經)으로 들어간다. 효능은 청열(淸熱), 생진(生津)하고, 욕지기를 그친다[止嘔]. 적응증|열병번갈(熱病煩渴), 비뉵(鼻衄), 치뉵(齒衄), 위열구얼(胃熱嘔噦), 열격(噎膈), 반위(反胃), 폐열해수(肺熱咳嗽), 폐옹(肺癰), 폐위(肺痿), 복어중독증 용법용량|30~60g을 달여 복용한다. 복어독에는 날로 0.5kg을 찧어 즙을 내거나, 달여 복용한다. 동양의학.
24682 시자(柿子) 기원| 감나무(Diospyros kaki L. f.)의 열매 이명|주과(朱果) 참고|시체(柿蔕) 약성|달고 떫으며, 차다. 심경(心經), 폐경(肺經), 대장경(大腸經)으로 들어간다. 청열(淸熱), 윤폐(潤肺), 생진(生津), 지갈(止渴)하는 효능이 있다. 적응증| 폐위(肺痿), 해혈(咳血), 인후건조(咽喉乾燥), 열갈(熱渴), 구설생창(口舌生瘡) 용법용량|날로 1~2개를 먹는다. 동양의학.
9394 감수(甘遂) 기원| 감수(甘遂; Euphorbia kansui Liou.)와 개감수(Euphorbia sieboldiana Morr. et Decne.)의 덩이뿌리 이명|감택(甘澤), 종수화근(腫手花根) 분포|개감수는 우리나라 각지의 산야에서 자라며, 감수는 중국의 섬서, 감숙, 하남 등지에 분포한다. 성상|건조한 뿌리는 연주상(連珠狀) 방추형, 긴 타원형으로 길이 3~9cm, 지름 0.6~1.5cm이다. 또한 가늘고 긴 불규칙적인 막대 모양이거나 약간 완만한 곡선, 또는 꼬여 있는 것은 길이 3~10cm, 지름 2~5cm이다. 표면은 흰색 또는 옅은 황백색으로 보통 옅은 황색의 수염뿌리나 적갈색의 코르크층이 조금 남아 있다. 질은 가볍고 잘 꺾이며, 단면은 분성(粉性), 껍질 부위는 흰색으로 반경의 약 2분의 1을 차지하고, 목부는 옅은 황색을 띤다. 양품기준| 비대하고 풍만하며, 표면은 흰색 또는 황백색으로 나무결이 잘고, 단면의 분성이 많고, 섬유가 없는 것이 좋은 것이다. 뿌리가 가늘고 길며, 황갈색으로 분성은 적고, 단면의 섬유성이 강한 것은 좋지 않다. 채취가공|채집은 여름에 꽃이 피기 전이나 또는 늦가을에 뿌리를 캐어 흙과 바깥 껍질을 제거한 다음, 유황의 김을 쐰 후 햇볕에 말린다. 약성|쓰고 차며, 독이 있다. 비경(脾經), 폐경(肺經), 신경(腎經)에 들어간다. 효능은 사하축수(瀉下逐水), 축담(逐痰), 파적(破積), 통변(通便)한다. 적응증| ① 설사를 심하게 나게 하여 몸 안의 물을 배출 ② 담을 몰아냄. 용법용량|0.5~1g씩 갈아 먹거나 알약에 넣어 복용한다. 주의| 복수가 심하되 병정(病程)이 비교적 짧고 정기가 아직 지나치게 소모되지 않았을 때 쓰며, 상태가 많이 호전된 후에는 복용을 중단한다. 임산부는 사용할 수 없다. 동양의학.
9445 감초(甘草) 기원|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또는 창과감초(脹果甘草; Glycyrrhza inflata Bat.)의 뿌리 및 땅속줄기 이명|미초(美草), 밀초(蜜草), 국로(國老), 분초(粉草) 분포| 시베리아, 몽고 및 중국의 내몽고, 감숙 등 북부 지방 유사품|중국 신강에 분포하며 구감초(歐甘草)라고도 하는 광과감초(光果甘草; Glycyrrhiza glabra L.), 감숙에 분포하는 황감초(黃甘草; Glycyrrhiza kansuensis Chang et Peng), 신강, 감숙 등지에 분포하는 창과감초(脹果甘草; Glycyrrhiza inflata Batal) 등의 동속식물이 있다. 성상| 건조한 뿌리는 긴 원기둥형으로 분지하지 않고, 대부분은 길이 30~120cm로 구분되어 있으며, 지름은 0.6~3.3cm이다. 껍질이 있는 감초의 바깥 표면의 무른 정도가 고르지 않으며, 홍갈색, 갈색 또는 회갈색을 띠고, 현저한 주름, 비단 무늬 및 드문드문 가는 뿌리의 흔적이 있다. 피목은 암황색으로 옆으로 뻗어 있고 약간 돌기하여 있다. 양끝의 단면은 평평하고 규칙적이며, 단면의 중앙은 약간 패었다. 질은 딱딱하고 무거우며 단면은 섬유성이며 황백색을 띠고 분성(粉性)이 있다. l개의 선명한 고리 무늬와 국화의 화심(花芯) 무늬가 있으며, 보통 극간(隙間)을 형성하고 있다. 특이한 냄새가 약간 있고. 맛은 달고 특수하다. / 근상경(根狀莖)의 형상은 뿌리와 닮았지만, 표면에 아흔(芽痕)이 있고, 횡단면 중앙에는 수(髓)가 있다. / 분초(粉草)의 표면은 평탄하고 담황색이며 섬유성이고 세로의 균열이 있다. 껍질이 붙은 감초는 외피가 밀접하고, 주름이 있으며 홍갈색이다. 양품기준| 질은 딱딱하고 분성이 풍부하며, 단면이 황백색의 것이 좋은 것이다. 외피가 거칠고 회갈색이며 질이 무르고 분성이 적으며, 단면이 짙은 황색의 것은 그 다음 품종이다. 또 외피가 흑갈색이며 질이 딱딱하고, 단면이 황갈색이며 맛이 쓴 것은 약용으로 쓸 수 없는 것이다. 분초는 껍질이 붙은 감초보다 더 좋다고 한다. 내몽고의 이극소맹항금기(伊克昭盟杭錦旗)에서 생산되는 것의 품질이 가장 우수하다. 채취가공|채집은 가을에 캐서 줄기의 밑부분, 작은 가지, 수염뿌리 등을 제거하고 적당한 길이로 잘라서 햇볕에 말려 반쯤 마르면 작은 다발로 만들어 다시 완전히 말린다. 코르크층을 벗겨 내서 쓰기도 하는데, 이를 분초(粉草)라고 한다. 약성|달고 차지도 뜨겁지도 않다. 비경(脾經), 위경(胃經), 폐경(肺經), 심경(心經)에 들어간다. 효능은 보비익기(補脾益氣), 윤폐지해(潤肺止咳), 완급지통(緩急止痛), 해독한다. 적응증| ① 비와 위의 기가 허하여 숨이 짧고, 몸이 나른하며, 팔다리에 힘이 없고, 대변이 묽을 때; ② 심장의 기와 피가 모자라 가슴이 두근거릴 때; ③ 심장이 허하여 간이 답답하여 장조증(臟燥證)이 생겼을 때; ④ 폐위(肺痿)로 오래 기침할 때; 풍한(風寒)이 폐에 침입한 경우; 풍열(風熱)이 폐에 침입하였을 때; 폐에 열이 있을 때; 폐가 차고 담음(痰飮)이 있을 때; 조사(燥邪)가 폐를 침범하였을 때; ⑤ 비(脾)가 허하고 간이 왕성하여, 윗배가 뒤틀리고 땅기며 아플 때; 몸 가운데가 허하고 찬 경우; 습열(濕熱)로 인하여 설사를 하며 배가 아플 때; 간이 답답하여 옆구리가 아플 때; ⑥ 피가 모자라 힘살과 혈맥이 잘 길러지지 않아 팔다리가 뒤틀리면서 땅기고 아플 때; ⑦ 손가락이 붓고 아플 때; 모든 옹저(癰疽); 단독(丹毒); 살갗에 빨간 종기가 볼록하게 튀어나오거나, 습진이 있어 가려울 때; 창옹(瘡癰); ⑧ 목구멍이 붓고 아플 때; ⑨ 쇠고기를 먹고 중독되었을 때; 모든 독약에 중독되었을 때; 음식물이나 비상(砒霜)에 중독되었을 때; 납 중독; 농약에 중독되었을 때 용법용량|보통 3~10g씩, 많이 쓸 때에는 15~30g씩 달여 복용하거나, 알약이나 가루약, 고약 등에 넣어 복용한다. 외용으로는 알맞은 양을 쓴다. 주의| 습(濕)이 성하여 가슴과 배가 더부룩하면서 가득한 듯하며, 그로 인하여 구역질하고 토하기까지 하는 경우에는 쓸 수 없다. 많은 양을 오랫동안 쓰면 부종, 혈압 상승, 나트륨의 저류, 혈중 포타슘 농도 저하 등의 현상이 나타나므로 많은 양을 오랫동안 쓸 수 없다. 만약 오랫동안 많은 양을 써야 한다면 반드시 택사(澤瀉)나 복령(茯苓) 등을 함께 쓴다. 감수(甘遂)·대극(大戟)·원화(芫花)·해조(海藻) 등을 반(反)한다. 동양의학.
9608 개자(芥子) 기원| 갓(Brassica juncea var. integrifolia Sinsk), 개채(芥菜; Brassica juncea (L.) Czern. et Coss.)의 씨앗 이명|개채자(芥菜子), 황개자(黃芥子) 분포|갓은 중국에서 들어와 우리나라 각지에서 널리 재배하고 있다. 성상|종자는 거의 원형이며 지름은 1~1.6mm 정도다. 종피는 진한 황색이나 황갈색이며 적갈색을 띠고 있는 것도 더러 있다. 루페로 관찰하면 종자의 표면에는 잔그물 모양의 무늬가 있고 꼭지가 확실히 보이며, 점 모양이 나타나고 있다. 물에 담가 불려서 종피를 벗겨 내면 주맥에 따라서 겹친 것같이 꺾인 자엽 2장을 볼 수 있다. 어린 뿌리는 꺾인 2장의 자엽 사이에 있다. 부수어서 적시면 코를 찌르는 것 같은 특수한 냄새가 난다. 양품기준| 속이 꽉 차고 크기가 일정하며 황색이나 적갈색 나는 것이 좋은 상품이다. 채취가공| 늦봄이나 초가을에 열매가 익었을 때 따서 햇볕에 말린 후 쳐서 씨를 떨어뜨린 다음, 그 열매껍질이나 가지나 잎 등의 쓸데없는 부분을 제거한다. 약성|맵고 따뜻하다. 폐경(肺經)으로 들어간다. 이기활담(利氣豁痰), 온중산한(溫中散寒), 소종지통(消腫止痛)하는 효능이 있다. 적응증|해천담다(咳喘痰多), 흉협창통(胸脇脹痛), 위한토식(胃寒吐食), 심복동통(心腹疼痛), 음저(陰疽), 담핵(痰核), 질타손상(跌打損傷), 관절동통(關節疼痛) 용법용량|3~9g을 달여 복용하고, 외용은 알맞은 양을 갈아 식초에 개어 바른다. 주의| 폐가 허해 오래 기침하고, 음허화왕(陰虛火旺)한 사람에게는 쓸 수 없다. 동양의학.
19311 북사삼(北沙參) 기원| 갯방풍(Glehnia littoralis Fr. Schm.)의 뿌리 이명|은조삼(銀條蔘), 채양삼(菜陽蔘), 요사삼(遼沙蔘) 분포| 우리나라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라며, 중국의 산동, 하북, 요령 등지에 분포한다. 특이사항|갯방풍의 뿌리를 방풍(防風) 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성상| 건조한 뿌리는 원주형 또는 막대 모양으로 양끝은 본체보다 약간 가늘고 길이는 15~30cm이며, 지름은 3~8mm이다. 표면은 담황색으로 거칠거칠하고 세로심과 황갈색의 코르크 조직의 잔피(殘皮)가 남아 있으며 갈색점 모양의 잔뿌리 흔적도 남아 있다. 때때로 윗부분에 원주상 근경이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질은 딱딱하고 무르며 꺾이기 쉽다. 단면은 평탄하지 않고 담황색이며 중앙에 황색으로 방사형 목질부가 있고 형성층은 고리 모양으로 짙은 갈색이다. 냄새는 희미하다. 양품기준| 뿌리가 가늘고 길며 모양이 일정하고 빛깔이 희며 질이 견실한 것이 양품이다. 채취가공|7월~8월 또는 9월 하순에 캐서 땅윗줄기 및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끓는 물에 넣어 데친 다음 바깥껍질을 벗겨내고, 햇볕이나 불에 말린다. 약성|달고 약간 차다. 폐경(肺經), 위경(胃經)에 들어간다. 효능은 익기(益氣), 윤폐지해(潤肺止咳), 양위생진(養胃生津)한다. 적응증|폐열조해(肺熱燥咳), 허로구해(虛癆久咳), 폐위(肺萎), 열병상음(熱病傷陰), 인건구갈(咽乾口渴) 용법용량|6~15g을 달여 복용한다. 주의|여로(藜蘆)에 반(反)하는 약물이므로 같이 쓰지 않도록 주의한다. 동양의학.
22910 소소채(小巢菜) 기원| 경모과야완두(硬毛果野豌豆; Vicia hirsuta (L.) S.F. Gray)의 풀 전체 이명|교요(翹搖), 원수채(元修菜), 표요초(漂搖草), 초자(苕子) 분포|중국의 강소, 절강, 강서, 호북, 안휘, 하남, 섬서, 사천, 운남 및 대만 약성|맵고 차지도 따뜻하지도 않다. 폐경(肺經), 비경(脾經), 위경(胃經)에 들어간다. 효능은 청열이습(淸熱利濕), 활혈지혈(活血止血)한다. 적응증|황달, 학질, 백대하, 비뉵(鼻衄) 용법용량|18~60g을 달여 복용한다. 동양의학.
10625 계지(桂枝) 기원| 계수나무(肉桂; Cinnamomum cassia Presl.), 생달나무(Cinnamomum japonicum Sieb.), 육계나무(Cinnamomum loureirii Nees.)의 어린 가지 참고| 육계(肉桂) 성상|건조한 어린 가지는 원주형으로 길이는 15~l00cm, 지름은 0.3~1cm이다. 바깥쪽은 적갈색 또는 자갈색이고 표면에는 가지자국, 잎자국, 싹자국과 함께 세로 능선, 세로무늬, 가로무늬가 있다. 질은 딱딱하고 무르며 꺾이기 쉽다. 꺾인 단면은 평탄하지 않고 바깥쪽에는 적갈색의 테두리가 있으며 중심부의 빛깔은 약간 짙다. 굵은 가지의 단면은 황백색이다. 양품기준| 어리고 부드러우며 적갈색이고 향기가 좋은 것이 양품이다. 채취가공|채집은 봄과 여름에 여린 가지를 잘라 잎을 따내고 햇볕이나 그늘에 말린다. 약성|맵고 달며 따뜻하다. 심경(心經), 폐경(肺經), 방광경(膀胱經)에 들어간다. 효능은 발한해표(發汗解表), 온경통양(溫經通陽)한다. 적응증|풍한표허증(風寒表虛證), 풍한표실증(風寒表實證), 풍한습비증(風寒濕痹證), 담음증(痰飮證), 수종 및 소변불리증(小便不利證), 흉비심계(胸痹心悸), 월경부조(月經不調), 경폐(經閉), 통경(痛經), 징가(癥瘕) 포제|법제하는 방법은 계지는 물에 잠깐 담갔다가 꺼내어 눅눅해지면, 알맞게 잘라 햇볕에 말린 다음 체로 쳐서 가루를 없앤다. 계지목(桂枝木)은 껍질을 벗긴 계지를 물에 잠깐 담궈 눅눅해지면 알맞게 잘라 서늘한 곳에서 말린다. 계지첨(桂枝尖)은 계지의 가는 끝을 잠깐 물에 담갔다가 꺼내어 누글누글해지면, 알맞게 잘라 서늘한 곳에서 말린다. 초계지(炒桂枝)는 계지 조각을 솥에 넣고 약한 불로 짙은 누런 색을 띠면서 약간 거뭇해질 때까지 볶는다. 용법용량|5~10g씩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복용한다. 주의| 약이 신온(辛溫)하여 열을 도와 상음(傷陰), 동혈(動血)할 우려가 있으므로 온열병(溫熱病)를 앓는 사람과 음허양성(陰虛陽盛)하거나 혈열망행(血熱妄行)하는 사람에게는 쓸 수 없다. 또한 임신한 부인 및 월경량(月經量)이 많으면 복용을 삼간다. 동양의학.
29824 원수(芫荽) 기원| 고수(芫荽; Coriandrum sativum L.)의 뿌리 달린 풀 전체 이명|호수(胡荽), 향채(香菜) 분포| 우리나라 및 중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채취가공| 봄에 캐서 깨끗이 하여 햇볕에 말린다. 약성|맵고 따뜻하다. 폐경(肺經), 위경(胃經)으로 들어간다. 효능은 발한투진(發汗透疹), 건위소식(健胃消食)한다. 적응증|마진투발불창(麻疹透發不暢), 감모발열무한(感冒發熱無汗), 식체위통(食滯胃痛), 비민(痞悶) 용법용량|9~15g을 달여 복용한다. 두드러기가 생겼을 때에는 날로 달여 그 김을 쐬고 씻는다. 동양의학.
12586 금작화(金雀花) 기원| 골담초(Caragana sinica Rehder.)의 꽃 이명|황작화(黃雀花), 양작화(陽雀花), 부두화(斧頭花), 저제화(猪蹄花) 분포| 우리나라 경상북도 및 중부지방의 산지에서 자라며, 중국의 절강, 강소, 사천, 하북, 하남, 섬서, 호북, 호남 및 화동 서남 지역에 분포한다. 채취가공|채집은 4월 중순에 따서 햇볕에 말려 좀먹지 않게 보관한다. 약성|달고 차지도 뜨겁지도 않다. 폐경(肺經), 비경(脾經), 간경(肝經)으로 들어간다. 효능은 자음(滋陰), 건비(健脾), 화혈거풍(和血袪風)한다. 적응증|폐허해수(肺虛咳嗽), 두훈두통(頭暈頭痛), 이명안화(耳鳴眼花), 요슬산통(腰膝酸痛), 백대하, 감적(疳積), 풍습비통(風濕痹痛), 질타손상(跌打損傷) 용법용량|3~15g을 달여 복용하거나 산제에 넣어 복용한다. 동양의학.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