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사전

황련(黃連)

[본초] 미나리아재비과(毛茛科, Ranunculace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황련(Coptis japonica Makino), 중국황련(中國黃連, Coptis chinensis Franchet), 삼각엽황련(三角葉黃連, Coptis deltoidea C. Y. Cheng et Hsiao) 또는 운련(雲連, Coptis teeta Wallich)의 뿌리를 제거한 뿌리줄기(根莖). 가을에 채취하여 수근(鬚根)과 니사(泥沙)를 제거하고 건조하여 사용한다.

  • Ref. 대한한의학회 표준한의학용어집 2.1 (2021)


황련(黃連)

기원 미나리아재비과의 다년생 초본식물 미련(味連; Coptis chinensis Franch.), 아련(雅連; Coptis deltoidea C. Y. Cheng et Hsiao), 운련(雲連; Coptis teetoides C. Y. Cheng), 일황련(日黃連; Coptis japonica Makino var. dissecta Nakai)의 뿌리줄기
이명 천련(川連), 왕련(王連), 지련(支連), 아련(牙連), 미련(味連)
분포 미련은 중국의 사천, 호북 등지에서 나며, 아련은 중국의 사천에서 나고, 운련은 중국의 운남에서 난다. 일황련은 우리나라 서울대 약초원인 부천과 일본에서 재배한다.
성상 미련은 분지가 많고 여러 개가 1묶음으로 되어 있으며, 조금 구부러저 닭의 발톱과 비슷하다. 단지근경(單枝根莖)의 길이는 3~6cm, 지름은 0.3~0.8cm이다. 표면은 황백색으로 엉성하고 불규칙한 결절상의 융기와 수근 및 수근의 잔기(殘基)가 있으며, 마디 사이의 표면은 평탄하고 매끄럽다. 상부에는 갈색의 인엽이 남아 있고, 정단에는 남은 줄기와 엽병이 있다. 질은 단단하고, 단면은 고르지 않으며, 피부는 등홍색(橙紅色) 또는 암갈색이며, 목부는 선황색 또는 등황색이며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수부는 어떤 것은 비어 있는 것도 있다.
아련은 분지되지 않고 약간 원주형으로 조금 구부러져 있다. 길이는 4~8cm, 지름은 0.5~1cm이다. 마디 사이의 표면은 평탄하고 매끄러우며 비교적 길고 정단에는 잔기가 남아 있다. 운련은 구부러진 구상(鉤狀)을 나타내며 대개 단지(單枝)로 비교적 세소하다.
포제 잡질을 제거하고 생용(生用)으로 쓰거나 주초(酒炒), 강초(薑炒), 오수유초(吳茱萸炒) 등을 하여 쓰기도 한다.
약성 쓰고 차다. 심경(心經), 간경(肝經), 위경(胃經), 대장경(大腸經)에 들어간다. 청열조습(淸熱燥濕), 청심제번(淸心除煩), 사화해독(瀉火解毒) 등의 작용이 있다.
적응증 습열(濕熱)에 의한 비만(痞滿), 구토, 사리, 황달, 고열신혼(高熱神昏), 심화항성(心火亢盛), 심번불매(心煩不寐), 혈열(血熱)로 인한 토뉵(吐衄), 목적(目赤), 탄산(呑酸), 아통(牙痛), 소갈(消渴), 옹종(癰腫), 습창(濕瘡) 등에 쓴다. 술로 볶은 황련은 상초(上焦)의 화열(火熱)을 잘 내리므로 목적(目赤)구창(口瘡)에 쓴다. 생강즙으로 볶은 황련은 위를 식히고 위를 편안하게 하여 구토를 그치게 하므로 한(寒)과 열이 뭉치거나 습열(濕熱)이 가운데 쌓여 생긴 비만(痞滿)과 구토에 쓰고, 오수유로 볶은 황련은 간을 완화시키고 위를 편안하게 하여 구토를 그치게 하므로 간과 위가 불화하여 생긴 구토와 탄산 등에 쓴다.
주의 위가 차가워서 생긴 구토나 비(脾)가 허하여 생긴 설사 등의 병증에는 복용을 금하고, 약이 아주 차므로 과량이나 오래 복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 Ref. 경희대학교, 동양의학대사전 (1999) 중 일부 발췌함.


황련(黃連)

황련의 뿌리. 가슴이 답답하고 잠을 자지 못하는 데나 구토, 설사 따위에 쓴다. 참고: 상황련(常黃連)

  • Ref.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