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사전

오약(烏藥)

[본초] 녹나무과(樟科, Lauraceae)에 속한 상록관목인 오약(烏藥, Lindera strichnifolia Fernandez-Villar)의 뿌리(根). 겨울과 봄에 채취하여 쇄건(曬乾)한 후 사용한다. =천태오약(天台烏藥).

  • Ref. 대한한의학회 표준한의학용어집 2.1 (2021)


오약(烏藥)

기원 녹나무과에 속하는 식물 오약(烏藥; Lindera strychifolia (S. et Z.) Villar)의 덩이뿌리
이명 태오약(台烏藥), 천태오약(天台烏藥)
분포 중국의 절강, 호남, 안휘, 광동, 광서, 대만, 복건, 호북, 강서, 강소 등지에 분포한다.
유사종 중국 광서에는 별종의 오약이 있는데 그 원식물은 녹나무과 생강나무와 동속인 백교목(白膠木; Lindera chunii Merr.)이다. 형태는 본 종과 거의 비슷하나 늙은 잎의 아랫면에 황금색 또는 녹슨 것 같은 색의 부드러운 털이 밀생하며 광택이 있는 것이 다르다.
채취가공 겨울과 봄에 캐서 수염뿌리를 제거한 후 햇볕에 말린 것을 오약개(烏藥個), 코르크층을 벗겨내어 알맞게 잘라 불에 말린 것을 오약편(烏藥片)이라 한다.
성상 오약개(烏藥個)는 방추형이며 약간 굽어져 있고, 양끝이 조금 뾰족하며 중간 부분이 부풀어 있거나 염주 모양을 이루고 있다. 길이는 10~15cm이며 부풀어 있는 부분의 지름은 1~2cm이다. 표면은 다황색 또는 황갈색이며 수염뿌리의 잔흔이 있고 세로 주름과 가로무늬가 있다. 질은 딱딱하여 쉽게 꺾이지 않는다. 횡단면은 거의 원형으로 담갈색인데 붉은 빛을 띠며 약간 분성(粉性)이고, 중심은 비교적 색이 짙다. 바깥 껍질은 갈색이고 매우 얇으며, 목질 부분에는 방사상의 주름과 고리모양의 무늬가 있다. 희미한 향기가 있다.
오약편(烏藥片)에는 얇은 조각과 두꺼운 조각이 있는데 모두 원형에 가까운 모양이다. 두꺼운 조각은 비스듬히 자르면 타원형이 되며 지름이 1~2cm, 두께가 약 1.5mm이다. 얇은 조각은 두께가 1mm 이하이며 편평하고 탄성이 있다. 단면은 황백색 또는 연한 갈색으로 붉은 빛을 띠며 방사상 주름과 고리 모양의 무늬가 있다.
양품기준 오약개는 염주상이고 질이 부드러우며 분성이 크고 횡단면이 담갈색인 것이 양품이다. 오약편은 편평하고 가지런하여 말려 있지 않고 빛깔이 연하며 검은 점이 없고 갈라지지 않은 것이 양품이다.
일반적으로 중국 절강 천태(天台)에서 나는 것이 가장 품질이 좋다고 하여 천태오약(天台烏藥) 또는 태오약(台烏藥)이라고도 불린다.
약성 맵고 따뜻하다. 비경(脾經), 폐경(肺經), 신경(腎經), 방광경(膀胱經)에 들어간다. 효능은 행기지통(行氣止痛), 온신산한(溫腎散寒)한다. 신미(辛味)개(開)하고, 온성(溫性)산(散)하여 기(氣)의 승강(升降)을 도와준다.
용법용량 3~10g을 물에 달여 먹거나, 알약이나 가루약에 넣어 먹는다.
주의 이 약의 매운 맛은 열이 나게 하고, 따뜻한 성질은 말려, 기를 흩뜨리고 피를 소모시키므로, 기혈(氣血)허(虛)하여 내열(內熱)이 있는 자는 먹을 수 없다.
  • Ref. 경희대학교, 동양의학대사전 (1999) 중 일부 발췌함.


오약(烏藥)

말린 천태오약의 덩이뿌리. 기를 잘 통하게 하고 한사(寒寫)를 없애며 신장(腎臟)과 방광을 따뜻하게 하여 심복통(心腹痛), 각기(脚氣), 소변빈삭 따위의 치료에 쓰인다.

  • Ref.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20)